리눅스 umask 파일/디렉터리 생성 권한주기
파일권한 형식
r : 읽기권한(4) , w : 쓰기권한(2), x : 실행권한(1)
drw-rw-rw-. 1 root root
-rw-rw-rw-. 1 root root
"d" 디렉토리를 의미함, 없으면 파일
drw-rw-rw-. 1 root root
소유자 권한 부분
drw-rw-rw-. 1 root root
그룹 권한 부분
drw-rw-rw-. 1 root root
아무나권한 부분
umask 를 이용하면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생성시 기본으로 권한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
파일 이랑 디렉토리 생성시 기본 권한값
파일은 만들때 666의 권한
디렉토리는 777
권한입니다.
umask 의 기본값 0222 , 그 값에서 빼기를 한값이 퍼미션 값입니다.
ex) umask 0222 를 입력하면 0222의 권한으로 설정되고
파일을 생성하면 666 - 0222(umask값) = 444 (읽기권한뿐) 으로 생성됩니다.
umask 명령은 현재 쉘에서만 적용되고
로그아웃이나 다른 쉘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원래 설정값으로 변경됩니다.
항상 유지하려면 환경 파일은 /etc/profile과 ~/.bash_profile 에 설정값을 저장하면 됩니다.
vi /etc/profile 실행
이 파일 하단 부분쯤에 아래와 같은 부분이 있습니다.
if [ $UID -gt 199 ] && [ "`id -gn`" = "`id -un`" ]; then
umask 002 -> 일반계정
else
umask 022 -> root 계정
fi
'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 최근 수정된 파일 쉘 상 변경 파일 찾기 atime mtime ctime (0) | 2016.01.06 |
---|---|
리눅스 php-mbstring 설치하기 Call to undefined function mb_substr() (0) | 2015.12.08 |
리눅스 특정 명령어 실행 권한 주기 Linux specific commands execute permissions period (0) | 2015.11.11 |
리눅스(linux) 바이너리(binary) 실행 막기( no run) (0) | 2015.11.11 |
리눅스 시스템 관리 접속한 특정한 사용자에게 혹은 전체 사용자에게 메시지보내기 (1) | 2015.11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