리눅스

리눅스 한글 Locale LANG=ko_KR.UTF-8

조원태 2016. 7. 2. 16:52
반응형

Locale(로케일은) 프로그램을 언어와 국가에 최적화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"지역/언어"정보다. 프로그램은 유저(보통 시스템 관리자)가 설정한 locale에 따라서, 입/출력 인코딩을 적용해서 메시지를 출력한다.



locale -a로 운영체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로케일 정보를 볼 수 있다



C             # ASCII 인코딩

C.UTF-8

POSIX

en_AG

en_DE.utf8    # 독일어,    독일,      UTF-8 encoding 

en_CA.utf8    # 캐나다어,  캐나다,    UTF-8 encoding 

en_US.utf8    # 영어,      미국,      UTF-8 encoding

ko_KR.utf8    # 한국어,    대한민국,  UTF-8 encoding



한글 나오게 하기


export LANG=ko_KR.UTF-8  엔터


locale 엔터  


LANG=ko_KR.UTF-8

LC_CTYPE="ko_KR.UTF-8"

LC_NUMERIC="ko_KR.UTF-8"

LC_TIME="ko_KR.UTF-8"

LC_COLLATE="ko_KR.UTF-8"

LC_MONETARY="ko_KR.UTF-8"

LC_MESSAGES="ko_KR.UTF-8"

LC_PAPER="ko_KR.UTF-8"

LC_NAME="ko_KR.UTF-8"

LC_ADDRESS="ko_KR.UTF-8"

LC_TELEPHONE="ko_KR.UTF-8"

LC_MEASUREMENT="ko_KR.UTF-8"

LC_IDENTIFICATION="ko_KR.UTF-8"

LC_ALL=






반응형